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nestjs
- microsoft azure openai
- 해커톤
- configmodule
- Type Challenge
- mysql boolean
-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
- 월간cs
- mysql
- typeorm
- npm
- 회고
- configservice
- type-safe configservice
- 타입스크립트
- HTTP
- 2024년 회고록
- 굿바이 2024년
- 백엔드
- TypeScript
- TypeScript 타입챌린지
- 타입 챌린지
- 스터디
- typescript type challenge
- node.js
- network
- 와글와글
- 회고록
- 코딩테스트
- 타입챌린지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토큰 (1)
iamkanguk.dev

필자는 맵필로그라는 프로젝트에서 사용자 인증에서 JWT 토큰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. 하지만 단순히 Access Token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Refresh Token 사용을 도입을 하기로 결정했다. 각 개발자분들 마다 어떤식으로 구현을 하는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도 각기 다른 자료들을 볼 수 있다. 그래서 필자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프로젝트에서 JWT를 왜 도입했는지, 어떤식으로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 전략을 사용했는지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. 그리고 지금부터 Access Token은 AT로, Refresh Token은 RT로 표기하는 점 참고해주세요! 또한, 이 포스팅에서는 JWT의 자세한 개념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을 예정이니 다른 포스팅으로 한번 ..
사이드 프로젝트/맵필로그
2024. 1. 10. 16:48